연산자
연산자는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나 값에 대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기호입니다.
연산자의 종류에는 산술 연산자, 관계 연산자, 논리 연산자, 비트 연산자, 대입 연산자, 멤버쉽 연산자, 식별 연산자가 있습니다.
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하는 연산자의 종류와 문법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. 필요한 경우 특정 언어에 맞는 연산자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입 연산자에 대해 알아봅시다.
대입 연산자
대입 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거나 기존 값을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 연산자는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.
단순 대입 연산자
1. 기본 대입 연산자 (=)
기능: 변수에 값을 할당합니다.
문법: 변수 = 값
예제:
x = 10 # x에 10을 할당
y = "Hello" # y에 문자열 "Hello"를 할당
복합 대입 연산자
복합 대입 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이용하여 변수의 값을 재할당할때 사용합니다.
예를 들어 A = A>>2를 '>>=' 라는 복합 대입 연사자를 활용하여 A >>= 2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일반적인 문법은 'A =A (?) B' =>'A (?)= B'입니다.
다음은 자주 활용하는 복합 대입 연산자에 대한 설명 입니다.
1. 더하기 대입 연산자 (+=)
기능: 변수의 현재 값에 지정한 값을 더한 후, 결과를 변수에 대입합니다.
문법: 변수 += 값
예제:
x = 10
x += 5 # x는 이제 15
2. 빼기 대입 연산자 (-=)
기능: 변수의 현재 값에서 지정한 값을 빼고, 그 결과를 변수에 대입합니다.
문법: 변수 -= 값
예제:
x = 10 x -= 3 # x는 이제 7
3. 곱하기 대입 연산자 (*=)
기능: 변수의 현재 값에 지정한 값을 곱한 후, 결과를 변수에 대입합니다.
문법: 변수 *= 값
예제:
x = 10
x *= 2 # x는 이제 20
4.나누기 대입 연산자 (/=)
기능: 변수의 현재 값을 지정한 값으로 나눈 후, 결과를 변수에 대입합니다.
문법: 변수 /= 값
예제:
x = 10
x /= 2 # x는 이제 5.0
5.모듈로 대입 연산자 (%=)
기능: 변수의 현재 값을 지정한 값으로 나눈 나머지를 계산하고, 그 결과를 변수에 대입합니다.
문법: 변수 %= 값
예제:
x = 10
x %= 3 # x는 이제 1
6.정수 나누기 대입 연산자 (//=)
기능: 변수의 현재 값을 지정한 값으로 나눈 몫을 계산하고, 결과를 변수에 대입합니다.
문법: 변수 //= 값
예제:
x = 10
x //= 3 # x는 이제 3
7.거듭제곱 대입 연산자 (**=)
기능: 변수의 현재 값을 지정한 값으로 거듭제곱한 후, 결과를 변수에 대입합니다.
문법: 변수 **= 값
예제:
x = 2
x **= 3 # x는 이제 8
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면 코드가 간결해지고 가독성이 높아집니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/ python] 연산자 - 식별 연산자 (is, is not) (0) | 2024.09.22 |
---|---|
[파이썬 / python] 연산자 - 멤버쉽 연산자 (in, not in) (0) | 2024.09.20 |
[파이썬 / python] 연산자 - 비트 연산자 (&, |, ^, ~, <<, >>,) (0) | 2024.09.18 |
[파이썬 / python] 연산자 - 논리 연산자 (and, or ,not) (1) | 2024.09.17 |
[파이썬 / python] 연산자 - 관계 연산자 (==, !=, >, <, >=, <=) (0) | 2024.09.16 |